*상경계열 취준생들*을 위한 자격증 리뷰!-재경관리사 세무회계 편

2023. 6. 18. 08:56시간을 아껴주는 상경계열 자격증 정보

반응형

안녕하세요~여러분의 시간을 아껴드리는 시간구조대 입니다!

 

이번에는 요즘 핫 한 자격증 중 하나인 재경관리사의 주요 범위 중 하나인 세무회계 파트를 리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재경관리사 시험이 있었는데 다들 여러분들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가셨기를 바래보겠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재경관리사는 수험 범위가 아주 넓습니다. 

각 범위마다(회계,세무,원가) 사실상 거의 전 범위가 시험 범위이기 때문에 자신이 자신있는 부분을 잘 알아야 합니다.

재경관리사의 합격 점수

보통 수험생 분들이 많이 하시는 실수들이 있는데 재경관리사는 전 과목 70을 넘어야하는 시험을 잊으신다는 겁니다.

공부를 하시면서 이미 자신있는 과목에 시간을 과도하게 투자하시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문제은행식의 출제 형태니 어느정도 많은 문항을 풀으셨다면, 다른 과목으로 넘어가야합니다.

 

시험의 기본적인 공부방법은 여기까지 하고 이제는 세무회계의 전체적인 내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사실상 거의 전범위에 가깝습니다.

세법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조세총론을 의미합니다.

1,조세의 개념

2.조세의 종류와 성격

3.조세법의 기본원칙 등 ----기본적인 조세에 관한 내용들을 물어봅니다. 이 부분은 공부하는 시간이 적어도 충분히 맟출 수 있으니, 가성비가 좋습니다. 실제로 지문도 어렵게 출제안되니 단기간 빠르게 집중해서 공략하면 점수를 챙길 수 있습니다.

 

다음은 국세기본법입니다.

1.국세부과의 원칙,세법적용의 원칙

2.과세요건

3.수정신고와 경정청구------국세 기본법 부분은 주로 국세부과,세법적용의 원칙을 많이 물어보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까지의 출제되는 문제들은 공부시간을 길게 투자하지 않아도 밑에 메인 3개의 세법에 비해(부가,소득,법인) 점수 획득하기가 용이합니다. 

 

즉 세무회계가 부담이 되시는 분들은 최대한 앞 내용을 빠르게 숙지하시는게 합격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상위 2개 항목을 완벽하게 가져가시면 밑에 메인 3개 세법 중 하나를 조금 놓아주셔도(기왕이면 법인세나 소득세 둘 중 하나,부가세는 쉽습니다.) 합격에 큰 영향이 없습니다.

70점만 넘으면 되니까요.

 

이제 드디어 메인세법 입니다.

부가세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재경관리사 최고의 꿀과목이 아닐까 싶습니다. 

재경관리사를 도전하실 정도면 이미 기타 하위자격증들에서 부가세를 많이 풀어보셨을 겁니다.이론수업 들을 때  조금 더심화적인 내용일 어렵게 다가올 수 있으나, 항상 말씀드렸듯이 시험문제는 그렇게 어렵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1.부가가치세의 계산구조

2,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거래,공급시기,영세율과 면세

3.과세표준과 계산, 매출세액의 계산,매입세액의 계산

4.부가가치세의 신고,납부,간이과세------------------------------제 기준 2번,3번 단락을 가장 중심적으로 봐야한다 생각합니다.

 

저 2개 범위에서 가장 많은 시험문제들이 출제됩니다. 

 

다음은 소득세입니다. 여기서부터는 공부해야할 양이 확실히 늘어납니다. 다만 추천드리는건 양도,퇴직소득세의 계산문제에 너무 큰 투자를 하지 않으셨음 합니다. 기존 소득세와 계산구조가 완전히 달라 혼동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1.종합소득세의 계산

2.퇴직소득세

3.원천징수

4.양도소득세---------------------------------저라면 이 붉은색 2개의 부분에 집중할 거 같습니다. 양도와 퇴직은 출제 문항도 상대적으로 적을 뿐더러 동시에, 계산도 어렵습니다. 즉 다른 1,3번을 집중해서 공부하셨음 합니다. 특히 1번의 각종 공제계산을 잘 준비하시는게 유리하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법인세입니다. 저는 세법에서 법인세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재무회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 세법상 손익금을 정확히 분석하여 세무조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재무회계에 자신이 없다면, 법인세는 어느정도 포기하고 위에 4개 단락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훨씬 더 합격확률이 높습니다.(조세총론,국세기본법,부가세,소득세)

 

1.총설=법인세의 의의,과세소득의 범위,사업연도,납세지

2.각 사업연도의 소득에 대한 법인세

3.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

 

여러분들이 법인세에 자신이 있다 싶으시면(재무회계에 이해도가 준비된 경우) 붉은 2개의 파트를 집중적으로 공략하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1번을 적당히 하란 뜻은 아니고 다 열심히 하시면 당연히 좋습니다.)

 

만약 법인세를 어느정도 던질 마음이 있으시다면---1번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2,3번은 재무회계와 연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시고 다른 과목을 통해 합격을 노리신다면, 의의와 범위 같은 암기로 점수를 취득할 수 있는 부분을 공부해보도록 합시다.

 

 

 

시험을 보고 불안하지 않는 방법은 그냥 전부 다 공부하는 거긴 합니다.

제가 쓴 글은 주로 진짜 단기간에 취득하셔야 하는분

기본기가 조금 모자라신 분

이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전략적으로 한다면 70점은 여유있게 돌파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 재경관리사 시험이 어려웠다고 들었습니다.

 

포기하지 마시고 꼭 취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이만한 범용성의 자격증이 없습니다. 

시간 구조대는 도전하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다음에는 다른 부분 공략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samilexam.com/usr/greeting.do

 

삼일회계법인

 

www.samilexam.com

좀 더 깊이있는 분석과
다양한 자격증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로 방문해주시면 됩니다.
https://licensefactory.co.kr/

반응형